-
그 대학생은 왜 말라위 축구팀 구단주가 되었나
-
작성자 토토닷
본문
부산외대 학생 이동훈씨는 ‘치주물루 유나이티드’ 구단주다. 한국 대학생이 어떻게 직선거리로 1만1175㎞ 떨어진 아프리카 말라위 3부 리그 축구팀의 구단주가 되었을까.
이동훈씨(23)는 부산외대 대학생이다. 그리고 ‘치주물루 유나이티드’ 구단주다. 국제개발협력을 전공하는 대학생이 어떻게 직선거리로 1만1175㎞ 떨어져 있는 아프리카 말라위 치주물루 섬의 3부 리그 축구팀 구단주가 되었을까?
이씨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이름은 창박골이다(10월9일 현재 구독자 8만2600명). 그가 다닌 안양서중이 있던 동네 이름이다. 그 동네에서의 추억이 좋아 채널명으로 정했다. 그는 중고등 시절부터 영국의 ‘브라이턴 앤드 호브 앨비온
FC’
와
FC
안양의 팬이다. 축구팀을 운영하는 축구 게임 〈풋볼 매니저(
FM
)〉에서 브라이턴을 선택하곤 했다. 브라이턴 관련 외신을 찾아 번역해가며 읽었다. 해외여행을 가 별 문제 없이 영어로 소통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9월29일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정에서 ‘치주물루 유나이티드’ 머플러를 든 ‘구단주’ 이동훈씨. ©시사 IN 조남진
여행을 좋아해 여행작가가 되고 싶었던 그는 한국관광고를 졸업한 뒤에 모로코, 모리타니 등 아프리카를 여행했다. 생소한 곳을 경험하고 싶어서 갔는데, 가난한 삶의 환경에 충격을 받았다. 개발도상국을 돕고, 다 같이 잘 사는 방법이 있을까. 관심을 갖게 되었고, 한국에 돌아온 뒤에 국제구호개발 NGO 월드비전에서 1년간 일했다. 내처 대학에서 국제개발협력을 전공하게 되었다.
여행 유튜브를 해보고 싶어서 2023년 4월에 인도 시골 여행 영상을 올렸다. 국내 국토대장정 영상도 올렸는데, 조회수는 100회를 오갔다. 지인들만 댓글을 다는 수준이었다. 2023년 겨울, 두 번째 모리타니 방문 이후 채널 성격이 바뀌었다. “여행 유튜브는 체념한 상태였다. ‘여행이나 재미있게 하고 돌아가 공부하자’ 하고 있었는데, 호스텔에서 만난 ‘스코틀랜드 형님’이 모리타니 축구 리그를 보러 간다고 했다. 따라갔더니 현지 팬과의 소통, 응원 문화가 무척 재미있었다. 간 김에 영상을 찍어 올렸는데 조회수가 1만 회 정도 나왔다. 갑자기 1만명이 보니까 신기했다.”
그렇게 알려지지 않은 축구 문화를 탐방하는 유튜버가 되었다. 세네갈, 감비아, 기니비사우, 시에라리온, 방글라데시, 인도, 말라위, 모잠비크, 짐바브웨, 남아프리카공화국, 탄자니아, 소말리아, 잉글랜드(7·8부 리그), 지브롤터, 라이베리아 등 여러 축구장을 찾아 다녔다. 몽골 2부 리그와 타이 3부 리그에서 뛰는 한국인 선수를 만나고, 한국 3·4부 리그 팀을 응원하는 팬들도 소개했다. 직장을 다니며 모아둔 돈과 유튜브 수익·후원금 등으로 비용을 충당했다. 빠듯한 ‘적자 여행’이었는데, 어디서도 본 적 없는 축구 콘텐츠에 구독자가 차츰차츰 늘었다.
그중에서도 지난해 6월 방문한 말라위 치주물루섬의 치주물루 유나이티드는 마음속에 오래 남았다. 6000여 명이 사는 작은 섬에 축구팀이 있다는 걸 인터넷을 통해 알고 무작정 찾아갔다. 섬에 있는 유일한 숙소 주인에게 축구팀에 대해 물으니 ‘축구팀 감독을 잘 안다’며 소개해주었다. 이발사로 일하는 맥팔른 마푸타 감독, 아이들을 가르치는 맥슨 코치를 만났다. 섬사람들의 십시일반으로 운영하는 축구팀 환경은 열악했다. 선수들은 대개 어업, 건설노동자, 오토바이 기사 등 직업을 갖고 있다. 유니폼이 없어서 경기 때면 다른 팀의 유니폼을 빌려 입어야 했다. 팀의 축구공은 두 개뿐이고, 훈련용 콘 대신 빈 페트병을 사용했다. 홈경기만 볼 계획이었는데 감독이 당연하다는 듯 제안했다. “원정경기 가는데, 같이 갈 거지?”
“존경스러웠던” 말라위의 축구팀
몇 시간 배를 타고, 선수들이 트럭에 타는 원정길에 동행했다. 숙소도 빈집 같은 곳이었다. 맨바닥에 담요를 깔고 자는 수준이었다. “그런 환경인 줄 몰랐다. 정말 알았다면 다시 생각해봤을 텐데, 정신 차려보니까 이미 빈집에 내가 누워 있더라(웃음).” 일주일을 치주물루 팀과 함께 보냈다. 소감은? “말라위에서, 그것도 치주물루섬을 연고로 축구를 하는 거는 희망이 안 보이는,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그런 상황에서도 불평하지 않고 주어진 조건하에서 최선을 다해 원정까지 가며 축구를 이어가는 모습이 대단했다. 나는 한번 체험하는 건데, 그 사람들은 매번 이렇게 한다는 거잖나. 정말 존경스러웠다.” 일주일 동행 후에 이동훈씨는 감사·후원의 마음을 담아 맥팔른 감독에게 100달러를 건넸다. 귀국한 뒤에 영상을 올렸더니, ‘돕고 싶다’는 댓글이 이어졌다. 후원금을 모아서 보냈더니, 감독은 그 돈을 어떻게 썼는지 사용 내역과 영상을 보내왔다.
귀국한 뒤에도 이씨는 와츠앱으로 맥팔른 감독 등과 연락을 주고받았다. 올해 5월 초, ‘올해 리그는 어떨 거 같으냐’고 물으니, 리그 참가비(한국 돈 40만원)를 마련하지 못해서 불참할 것 같다는 답이 왔다. 또 지난해까지는 비교적 인접한 팀들과 경기를 했는데, 올해부터는 멀리 원정을 떠나야 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단다. 원정 비용 문제가 고민이라고 했다. 리그 참가비를 대신 내준 이씨는 고민고민하다 결심했다. “내가 구단주를 하자.”
FM
의 현실판처럼. 여름·겨울 방학 때 오가고, 평소 때는 온라인으로 소통하면 가능하겠다 싶었다. ‘구단주’ 제안에 감독 등 코치진이 무척 좋아했다.
이동훈씨가 구단주가 된 이후 ‘치주물루 유타이티드’ 선수단과 단체 사진을 찍었다. 뒷줄 맨 오른쪽이 이동훈 구단주. © 이동훈 제공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